Re-thinking of Korean recruitment process for multicultural society based on applying principles of justice

 

2007123163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

Dongwook Lee

 

I. Introduction

(1) Goal

The number of foreigners staying in South Korea has exceeded one million, reaching 1,418,149 as of 2011. Among these foreigners, 720,000 people are migrant workers. Among 1.4 million, China leads the top with 49.6%, followed by the United States (9.6%), Vietnam (8.2%), Japan (3.7%), Philippines (3.5), and Thailand (3.0%). As of September 2011, there are 550,000 workers with a legal working visa, 93,000 students abroad in the workforce, and about 170,000 illegal workers.

The goal of this essay is to assess current recruitment process and its details for foreigners in Korea about whether they violate certain principles of justice,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political philosophy to be applied in 2013, and give remedies to each injustice. In this essay I will try to explain the concept of justice that Korean society thinks in terms of labor market for foreigners. What is the political philosophy that needs to be applied in Korea the most in order to remedy the most serious problem? If so, how do we measure and decide that problem?

 

(2) Current research trends

            Current research on foreign workers focused on efficient management, and government policy in order to control supply and demand. It covered how to legally resolve problems of protection of rights of foreign workers with arguments whether it advocates or opposes foreign workforce import as it is. Rather than focusing on founding principles of the government's policy making behavior and customs of companies hiring foreign workers, current research so far has been focused only on raising precision of statistics or giving solutions to improve situations of Korea and Korean employers. It can be natural that Korean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related research institutes have incentives to work for the benefit of Korea in its perspective, but they seem to have almost neglected perspectives of foreign workers, notably whether current recruiting system is just.

 

(3) Methodology

This essay does not try to find out which regulation or institution should be fixed. Everyone has different thoughts about justice, so it is impossible to say that Korea should unify every rules based on utilitarianism, for example. But there are certainly Korean labor practices based on specific principles of justice. In order to lead to the conclusion, this essay will suggest the starting point of premise or fact that all principles of justice agree upon, and then criticize current government institutions or real life examples based on it.

 

II. Elements of Political Liberalism and Distributive Justice

(1) Increased quota of foreign workers 

Given the situation that small-scale low-skill manufacturing industry in the suburban areas of Seoul, notably in Ansan, Hwaseong, Siheung and Bucheon, is in dearth of Korean native workers who can voluntarily devote their skills and time in those factories, migrant workers, whether legal or illegal, are forming the lower stratum of the necessary workforce. Thus, the concept of community should be the entire workforce needed to move the economy of Korea, and migrant workers have legitimate cause in terms of justice to continue working. Regardless of possible discrimination in recruiting new migrant workers in factories, they have a just right to work for the solidarity with Korean factory owners and other Korean workers. Furthermore, advocating the equal right or liberty of foreign workers to work in Korea is necessary to maintain good reputation of Korean government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institutionalism rooted in Kant's democratic peace theory, preserving infrastructure and resources including human resources plays an important part to eschew war between democratic countries. A maxim of one country should be applied to other countries as well, giving birth to the idea of reciprocity as a result, regardless of difference of GDP and national power.

In fact, Korean government thinks of lack of domestic workforce in 3D industry as a serious problem, and as a response it has started recruitment promotion of migrant workers in regions outsid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2007. Even if the institution was made in order to follow the difference principle, to subsidize industries with the least attractiveness as a workplace, there cannot be no complaints about discrimination between the similar recipients of benefits. The government sets a maximum number of workers available to work in a specific business unit, as equal or less than 5 people when number of employees entitled medical insurance is equal or less than 10, 10 people for 11~50 people, 15 people for 51~100 people, regardless of field of business. This quota works as a measure to protect Korean domestic workers in general. However, as Seoul also accommodates similar companies having a same problem of lack of workers, business units in Seoul complain about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the government measure to allow business units in outside Seoul to employ 20% of foreign workers more. (경인일보, "외국인 고용허가제 '수도권 역차별', July 17, 2012) If the quota is set less than quantity of demand for annual foreign workers in this continuing lack of workforce, companies would employ more illegal workers not visible in the documentation which would eventually lead to higher crime rate caused by those workers. This is one example of the institution to manipulate freedom based on administrative area.

Also, liberal idea suggested by the government has good intention, but it ruined the smooth cycle of workforce in practice. The government does not give chance to be recruited legally to all foreign workers currently in Korea. There is no member in government who feels solidarity with foreign workers in general. As a result, owners of factories in Gyeonggi province started to oust illegal workers for fear that they might also be caught of illegally recruiting workers without government authorization. Political liberalism led to loss of high quality but illegal workers who can fluently speak Korean.

 

(2) Redistribution or difference principle

From the Rawls's perspective of distributive justice, remedying problems of a free market in order to give advantage to economic actors with less capability or less attractiveness produces a just distribution of income and wealth because the society's moral perspective makes distribution of workers, including domestic and foreign, arbitrary. Government simply focuses on natural assets of each workplace and tries to minimize the effect of natural lottery and historical or social fortune. Every workplace deserves hiring foreign workers at wages lower than that for Korean workers, and the one with apparently more inferior condition gets more ability to recruit foreigners. Government showed the real example of ambiguous barometer of the least advantaged: actually there is no such difference between workplaces in suburbs and central Seoul. If there is no clear distinction that objectively finds out a group of people that need redistribution of benefits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e discrimination, how can we realize the ideal that Rawls imagined?

While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is constantly spiking up in order to form a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native Koreans are still stuck with the idea of 'one ethnic identity and related myth'. That is why in July 2007, UN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CERD) strongly urged Korea to renounce on the idea of one ethnic tribe in order to promote the multiethnic characteristic and move on relevant government dispositions. But Korea still has distribution of work field based on certain ethnic groups. This is ascribed to the image created by the mass communication media, that the white people work as English teachers with high salaries in public and private schools, hakwons and private large companies. 

What would be the principles of justice for the society of migration in South Korea? We can say that those born from their Southeast Asian parents in South Korea are going to be integrated in a South Korean society, and they will die in this country, but newly came migrants are not deemed as having equal conceptions of good and sense of justice. Since a substantial majority of politically active citizens support an enduring and secure democratic regime, Korean democratic society is ruled by free and equal citizens based on Korean ethnic priorities. There is a rare chance that migrants form a majority in a specific subgroup of society, and Korea is not a cosmopolitan society from its short history of global openness. Rawls's principles of justice cannot explain solutions to the society where reasonable people from abroad suddenly integrate into one homogeneous society, so that minority which is vulnerable to making their moral and religious doctrines is completely neglected. Since the starting point becomes different from what he supposed, we cannot predict whether this society would lead to a fair agreement. 

Rawls's hypothetical setting of conditions is helpful for his logical linking of thoughts, but if only a minority of a society is not the target of social cooperation, his theory lacks explanatory power. We can think of intervention of a great power of a mediator or state as Hobbes purported, so that making institutions and enforcement mechanism can solve all conflicts and introduce monitored cooperation. However, political liberalism only focuses on citizens having political reason and political agreement with the principle of toleration. Are citizens in South Korea tolerant to the disabled and migrants? What would be the result if some people are not willing to cooperate with them?

As communitarianism works in favor of nationality decided as a community that does not change, it leads to obligations of solidarity for citizens having nationality in South Korea. Some government officials and most employers have this principle going beyond political liberalism. This is the point where free will of foreign workers becomes nonexistent. Against those foreigners who claim their rights to expand the labor market to the global level to work, Walzer might reject the appeal to rights and adopts in its place a conception of membership in a community, a conception that poses a powerful challenge to political theories that put rights first. When obligation comes first than rights mixed with a Korean traditional Confucian hierarchy and meritocracy mixed with racial discrimination, it creates a worst situation for foreign workers, especially Joseonjok, Japanese students against employers having anti-Japanese nationalist sentiment, and most severely, migrant workers from Southwest Asia.

 

III. Elements of Utilitarianism 

(1) Status transfer and job training

In order to maximize utility for the majority, Korean government actively supported migrant workers, especially illegal workers from low income countries compared to domestic workers. Abrupt economic growth led to rise in salary, thus making numerous small and medium sized industries based on 3D-difficult, dirty, dangerous- jobs trapped in lack of workforce. Whereas big companies used their capital to move the production facilities to overseas in order to lower wages and focus on capital, SMEs could not have another choice but to stay in Korea. Recognizing this problem and gap, the government started economic cooperation to make foreigners staying in Korea officially register as students of job training program in Korean SMEs and thus admitting regular position recruitment to help eliminate lack of workforce in those enterprises.

After the foreign workers are trained enough to be called skilled workers, after 4 years and 10 months of continuous work in one small-sized workplace without replacement, from July 2012 they have a chance to work again in the same workplace easily after entering Korea again after 3 months of departure. This should not be misconstrued as government intervention, but rather this is a government measure towards bringing more freedom of choice of individuals.

In order to change the status of illegal workers to legal workers, the government introduced a D3 visa of job trainees, in November 1991 for foreign investment companies and in November 1993 for small-and-medium-sized manufacturers, construction companies and farming businesses. Before the recruitment process, government intervened in order to raise utility of a community of workers and employers. Since the utility of Korean employers to have an advantage to mistreat foreign employees must be valued lower than the utility of foreign employees getting changed status from illegal to legal employee, this government measure is worth called utilitarian measure.

 

(2) Wage discrimination by companies

If the government did not care anything about wage discrimination between migrant and domestic workers, then the companies' measure of wage discrimination can be said to have followed the principle of utilitarianism, where more and more people think that they are well off with or without arbitrary help. Similar to price discrimination in order to maximize producer surplus in economics, wage discrimination is used in order to maximize surplus of producer of labor. As more SMEs are happy that they can employ workers in order to move their machines, and migrant workers are given legal rights to work in Korea, it looks like having achieved the greatest utility for the greatest number.

Employers of SMEs intend to justify their wage policy by arguing that giving salaries to workers based on Won-foreign currency exchange rate is without problem. In fact, government supports this idea and even foreign workers do not think of this as a big problem, since the wage they get can bring more financial benefit to their family when the money is transferred, than the benefit if they worked in their mother countries. Government decision is based on one research conducted by Korea Labor Institute in 2002. It estimates wage per hour for domestic workers as 4,833 KRW, while setting the appropriate wage per hour for foreign workers as 3,183 KRW, 65.9% of the Korean one. Productivity estimates of foreign workers is 76.4% compared to the Korean one, saying that hiring foreign workforce is advantageous for employers in terms of productivity per wage. Although the sample is limited to regular workers in construction sites, it tries to show how foreign workers might be happy if they are just hired without demanding detailed good working conditions or equality with other Korean workers. In fact they are not treated as equal ends in themselves, although it is not easy to find Korean substitute workers in Korea who are able to do framing, carpentry and plasterwork which all need careful technic.

But is this good or just in the long run? Before long, migrant workers will realize that actually there does not need to be any difference in treatment or value of a person according to nationality. If they improve language skills and be more impregnated to Korean business norms and culture, discourse about difference of productivity will lose its justification. Like Korean and Japanese working in France having same treatment as the French workers, workers skilled enough in Bangladesh who do not claim any difference in working skills with another Korean co-worker will demand higher wages. If the factory denies it, then the efforts of government towards maximum utility erode to fall back to a situation of lack of workers where the both sides are not satisfied. And most importantly, utilitarian approach of the government lacks justification because even in the situation where it's unclear why maximizing utility should be considered a moral duty, government pursued wage discrimination as a moral duty in its perspective. 

 

IV. Elements of Libertarianism

(1) No intervention of government

There is no intervention of government for the recruiting process and events organized by foreign workers as associations. For example, there is no limitation to make events for gathering of foreign workers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y, in cinemas in Daehakno or at Hangang riverside park.

However, recruitment process already set up based on libertarian ideas has led to minimalist state role in treating illegal workers pulling side effects, as often seen in the case like this: "I worked in more than 30 workplaces over the past 7 years. I only received payments from 7 of them, and received none from others where I cannot use any possible means because I do not own a visa. I have more than 5 million won unpaid, and if I try to fight with the owner, then the owner will call me to the police. I have no choice but to leave that kind of workplace." The state's role is limited to setting up a fair condition for migrant workers to be recruited, and it does not expand to managing and monitoring things happening inside the workplace after the recruitment process. The government does not care about them because after the recruitment, workers have become means inside the realm of private property. Since libertarianism also emphasizes fair opportunity as an element of justice, the government takes no humanitarian approach in order to save lives of migrant workers illegally working in Korea. This is linked to the principle of 'no paternalism' of the government, that employers have a directive to have a rational choice, and foreign workers also have it. However, current situation of the labor market for foreigners is not suitable for positive development of a libertarian society. Self-ownership can be achieved, but itself cannot bring any more benefit to justify income disparity and unequal living conditions, because the minimal state even set a difference between legal and illegal workers. Freedom is a value praised by libertarians, but in Korea for foreign workers freedom means nothing. And even employers do not benefit at all by freedom of workers and themselves to participate in business having concept of private property.

 

V. Conclusion: Most suitable principle of justice for Korea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can take various principles of justice, but in order to cope with the most serious problem that threats lives of people, the most needed remedy is giving equal rights of participation to the labor market, which is most inclined to political liberalism. Korea is currently not living by domestic workforce and material demand only, so the country's identity is destined to move towards a community to a global level. This expanded identity obviously leads to justification of trade of workforce, so that Korea must be prepared in providing business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Political liberalism that does not exceed the limit to go further to communitarianism to think of ourselves as citizens having Korean nationality and working for the benefit of Korean ethnic community, is the most needed principle in future legislation of government and recruitment process of Korean companies.

Utilitarian approach of Korean government and employers is also accepted, but it comes second to political liberalism. As long as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 workers exists, government intervention towards bringing up their rights would lead to decreased utility for employers who want decent American, European or Chinese workers. There are also general taxpayers who do not want the government to spend money on job training for foreign workers. 

However, what this essay claims has limitation in determining principles of justice by quantitative methods using various statistical data. Also, this essay did not prove the current situation of sentiments of racial discrimination and nationalism, but rather deemed it as a premise for argument. But this analysis would surely help understand the problem and give Korean government officials and employers ways of thinking towards economic benefit along with achieving justice.

 


2013년 1학기 정의론 (장동진 교수님) Term Paper입니다. 개인적으로 애정이 가는 글.

Posted by 마키아또
,
Posted by 마키아또
,

Foreign Policy Making in the US

Roger PERSICHINO

December 6, 2012

                                                    

 

 

 

 

 

Comparison of US Administration’s response to North Korea after May 2009 with the Administration’s initial foreign policy plan

            

Dongwook LEE

100040097


 

Usage of nuclear tests for North Korea is a signal where it wants to make neighbor countries and political counterparts reassess their prevailing strategies. The North was insisting that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ould require the United States to disengage from its security commitments in Northeast Asia, remove its nuclear umbrella from South Korea, withdraw US military forces from the peninsula, and develop a US-DPRK strategic relationship paralleling the US-ROK alliance.[1]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foreign policy to North Korea proposed by President Obama for his election campaign and what Bush was holding on till the end of his term, and the difference occurred after North Korea nuclear test. What is the most notable factor that formed Obama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measures in response to the North Korea nuclear test? Which factor had the most influence just after two military provocations?

The United States  was pursuing three primary denuclearization objectives: to convince Pyongyang to relinquish its fissile-material inventory; to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al fissile-material production by the North; and to ensure the DPRK’s full compliance with its non-proliferation commitments.[2] According to US think tanks and policy analysts, the United States has four options in dealing with a nuclear North Korea:[3]

1.      Give economic aid and a security assurance if North Korea dismantles its nuclear program.

2.      Use a military strike against North Korean nuclear facilities.

3.      Let North Korea develop nuclear weapons.

4.      Starve the North Korean regime of money.

The ultimate goal remains nuclear abandonment by the North, but a more practicable objective is risk minimalisation, both in relation to the DPRK’s extant weapons and in any potential transfer of technology and materials beyond North Korea’s borders.[4] The United States has not yet deemed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 direct threat to US national security.[5] But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remain a prospective threat against which the US continues to prepare, notably with respect to ballistic-missile defense.[6] Unlike Israel, India and Pakistan, the DPRK was a signatory to the NPT, the main cause of reproach from the United States. American officials had additional dealings with diplomats and technical personnel during the negotiations over Pyongyang’s missile development, the cancelled light-water reactor (LWR) project, and the now-suspended disablement of the DPRK’s nuclear complex at Yongbyon.[7] Intelligence data on the North’s earliest years of nuclear development was patchy and inconclusive, and more definitive evidence emerged only as the North pursued development of a complete nuclear fuel cycle, and when IAEA personnel were briefly able to undertake limited inspections at Yongbyon, the centre of the North’s plutonium-based program.[8]

If  the Congress were divided in two contrasting opinions, there would be no ability from the US to negotiate the nuclear crisis effectively with the DPRK. Sanctions managed by the Congress moved to practice after ironing out differences between Republican senators and representatives. Bipartisanship did not exist even though organized fact-finding trip to North Korea was conducted with senators from both parties. However, as more economic aid and stance similar to the Sunshine Policy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ere not a feasible track the Democratic party can take, Congress worked in a same direction as the UN Security Council, and mainly operated by Republican party in terms of relations with North Korea. North Korea Accountability Act of 2009 was introduced by four senators from the Republican party from Senat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in August after the nuclear test, making president Obama along with Secretary of State and Secretary of the Treasury to pressure North Korea in a state approach, although it failed to pass the Senate.

The  United States approaches to the North Korea’s nuclear issue through sanctions from the UN Security Council in response based on liberal idealism. Interventions sanctioned by an international system, notably UNSC and IAEA, dominated the abnormal relations between the two states so far covering both Bush and Obama administration. These began three days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have been increased in its scope and subject for containment of North Korean regime.

President George H. W. Bush on 27 September 1991 announced that the United Sates would unilaterally withdraw all remaining US tactical nuclear weapons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from US surface ships in the western Pacific.[9] IAEA safeguards that the North Korea acceded were due to preliminary South Korean withdrawal of nuclear weapons. The United States has pushed towards North Korea giving South Korean case as a justification of stopping nuclear weapons development, until the George W. Bush administration. With the capabilities it already had or was soon to complete by the early 1990s, Pyongyang today could have an arsenal of a hundred or more nuclear weapons.[10]

             Some policy analysts believe that North Korea’s pursuit of nuclear weapons reflects anxieties triggered by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DPRK’s loss of explicit security guarantees from Russia and China.[11] Pyongyang selected the gas-graphite reactor technology, which was the best dual-use option for both civilian and military nuclear usage.[12] As a small nation which uses a strategy of a scorpion to make other two or more neighboring countries fight each other, a certain amount of exaggeration of nuclear abilities led to overcome political crises inside North Korea and strengthened its relation to international community. Although DPRK is called as a hermit state, its arms deal with countries normally hostile to the United States remains stable with appreciation of trade partner countries.

A US military withdrawal from the ROK had long been among Kim Il-sung’s foremost strategic objectives. As he remarked to Romanian leader Nicolae Ceausescu only a month before the Kissinger visit, ‘[I]n the absence of the Americans in South Korea or of any other foreign forces, the South Korean people could install a democratic progressive government, through its own fo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such a government would draw us very close to each other, so that, without fighting, we could unify the country.’[13]

Under the George W. Bush administration, North Korea and its leader were the target of contempt, dismissal and verbal attacks.[14] The politics of “naming, labeling and framing” set the two governments significantly back in any pre-existing bilateral progress.[15] Also, the Bush administration killed the Agreed Framework for domestic political reasons and because it suspected Pyongyang of cheating by covertly pursuing uranium enrichment.[16]

November 2000 election led to a dismissive tone of Agreed Framework initiated in 1994, leading to its complete breakdown in 2003. Hardened attitude of the Bush administration following the attacks of September 11, 2001 was apparent in the president’s highly personalized criticisms of Kim Jong-il, his characterization of North Korea as a member of the ‘axis of evil’. After Pyongyang decided to formally renege on its NPT commitments and restart its long-suspended plutonium enrichment program, the Bush administration made China as a mediator taking an offensive role to dissuade North Korea. This tradition goes back to 2002, when Then-Secretary of State Colin L. Powell pressed China to host three-way discussions because it was clear that Bush was opposed to direct talks, according to the book “Soldier: The Life of Colin Powell,” by Washington Post Associate Editor Karen DeYoung.

On bilateralism of the United States towards North Korea before its first nuclear test in 2006, president Bush maintained a multilateral approach such as Six-Party Talks in terms of getting information about North Korea’s nuclear enrichment program. In a CNN article on October 10, 2006, US Secretary of State Condoleezza Rice on Tuesday defended the Bush administration’s refusal to hold bilateral talks with North Korea in the face of Pyongyang’s claim of a successful nuclear test.[17] As scholars argue that Northeast Asia is a region that has every possibility of becoming the best trading bloc in the future, because of Japanese capital and technology, Chinese labor and money, Russian natural resources, and the Korean work ethic,[18] Bush administration maintained multilateral approach leveraging gains of regional cooperation even though his personality and thinking were the most hostile to North Korean dictatorial regime.

Before the Obama administration, president Bush tried not to provoke North Korea directly through diplomatic clash. Instead, the United States managed to leave a very ineffectual diplomatic channel with stubborn policy principles. The stalled multilateral negotiation has turned out to be a failure where each member brings its own issues to the community agenda.[19] Senior Vice Foreign Minister Kang, who acted as the lead North Korean negotiator for the Agreed Framework, claimed that Pyongyang sought a bilateral agreement with both countries sitting ‘knee to knee’, but it is very doubtful that the DPRK anticipated or desired serious negotiations with the Bush administration.[20]

DPRK’s nuclear test secured the bilateral channel with the United States, which DPRK failed to erect during Bush’s first term. After DPRK resumed energy assistance from the US with bilateral talks, under the terms of the denuclearization action plan of February 2007 announced at the Six-Party Talks, the North agreed to ‘shut down and seal for the purpose of eventual abandonment the Yongbyon nuclear facility’ and to allow IAEA personnel to monitor and verify Pyongyang’s compliance with its commitments.[21] But because of small anticipation for the United States to change their interests, agreement of North Korea turned out to be a makeshift.

During the visit of US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James Kelly to Pyongyang in October 2002, the US for the first time accused the DPRK of pursuing uranium enrichment.[22] But at a later time, the status goes to zero again. Following the initial 2002 altercation with the Bush administration over North Korea’s alleged uranium enrichment program, as part of its response to UN sanctions following the April 2009 missile launch, Pyongyang announced that it would now pursue enriching uranium for domestic LWR program.[23] On 10 January 2003, the DPRK announced its ‘automatic and immediate’ withdrawal from the NPT and its ‘complete free[dom]’ from the restrictions of the safeguards agreement within the IAEA, simultaneously claiming that ‘in the current stage, our nuclear activities will be limited to only peaceful purposes, including electricity production.’[24] When investigating the reason of opting out of NPT for North Korea, it is most plausible that it wants to be equal to the US in terms of relations in Northeast Asia.

After a year-long absence from the Six-Party Talks, Pyongyang returned to the negotiations, culminating with release of the joint statement of 19 September 2005, with Beijing the principal drafter of the document.[25] However, after that Washington and Pyongyang quickly released unilateral statements with starkly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ir respective obligations.[26] During 2007 and 2008, North Korea curtailed some of its nuclear activities, including the shuttering and subsequent disablement of the Yongbyon reactor.[27] Bilateral negotiations turned out to be a deceit from one side where solutions to correct the fact lead to another deceit. President Bush’s first term was plagued with strategic and diplomatic errors that gave North Korea a free hand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its nuclear program.[28]

Since Kim Dae-Jung and Roh Moo-Hyun, the two former presidents of South Korea supportive for North Korea in humanitarian and economic aids did not take North Korean nuclear development in account in terms of military strategy, the Bush Administration did not have to calculate South Korean government’s behavior in order to change the originally set policy orientation towards North Korea. However, antipathy between the two Koreas started to affect late Bush administration and Obama administration thereafter till present. Rather than Obama’s election, election of South Korean president Lee Myung-Bak and his policy change to take the same approach according to the original policy orientation that prevailed from the beginning of Bush Administration was the reason for growing tens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leading military provocation in Cheonan and Yeonpyeong Do. However, North Korean nuclear test in May 2009 also does not bear its relation to president Obama’s election in late 2008.

Unlike the case of South Korea in which personality of a president forced another country’s foreign policy to change, United States had a set of foreign policy towards North Korea consistently regardless of a new president’s personality. George W. Bush, Donald Rumsfeld, and Dick Cheney used the term ‘axis of evil’ for North Korea, but Bill Clinton and Barack Obama refrained from using that term. Nevertheless, that does not alter the US vital interests towards North Korea, and only approaches between the two camps were different. In a closer look of this procedure, administrative branch has more peculiarities because congressional support for traditional US foreign policy towards North Korea remained consistent with the UN Security Council.

Pyongyang had high expectations for Obama, and expected him to be different from George W. Bush. The election of a dialogue-oriented president tends not to add UN Security Council sanctions or resolutions towards North Korea so that it deems the new president favorable, but as North Korea does not change its foreign policy directive, so that of the United States cannot change either. With President Obama’s criticism of Pyongyang’s missile (or satellite) launch in his Prague speech on April 5, 2009, North Korea responded with a second nuclear test the following month, on May 25, 2009.[29] When the first nuclear test in October 2006 was partially successful with a yield of slightly below 1 kiloton, the second was more successful with an estimated yield of 2 to 4 kilotons. A realist standpoint considering the United States as a whole, or as a state while looking through changes in North Korean state can give accurate analysis to find out the most notable factor for change in foreign policy towards North Korea from Obama Administr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Obama administration, it asserted that its fundamental policy objective with the DPRK is ‘a definite and comprehensive resolution’ of the nuclear issue,[30] exactly the same as that of Bush administration holding firm of vital American interests. At that time resuming Six-Party Talks was always at hand, even though North Korean hostility to Lee Myung-Bak and reticence of Hu Jintao to initiate softer policy of South Korea were already two main obstacles. This solution of multilateralism almost vanished throughout North Korea’s efforts to save its current regime through a significant nuclear test and two military provocations. Six-Party Talks stopped abruptly just after the nuclear test, and did not start again since then.

In early 2009, North Korea forcefully expanded its claims to standing as a nuclear-weapons state.[31] In abrupt, unequivocal fashion, the DPRK walked away from every denuclearization commitment made during the latter years of the Bush administration.[32] Along with a nuclear test with upgraded warhead compared to 2006, it simultaneously reactivated the reprocessing facility at Yongbyon, which stopped operating the year before. Every major nuclear test has changed the foreign policy direction of US, and at that time the change was radical.

The April 2010 US Nuclear Posture Review implies to expect the emergence of leaders in North Korea who did not see the system’s fundamental identity tied to retention of nuclear weapons. But in current situation of failing the yearly goal of economic growth, the current leader has to remain the status quo in terms of nuclear policy in order not to fail additionally in political terms. Current leadership of North Korea is called a ‘no landing’ scenario – that is, the perpetuation of the existing system based on the unquestioned power and authority of the Kim family and of the ruling elites that support it, retention of its nuclear weapons capabilities, and a measure of economic recovery.[33] The United States also keeps a policy of waiting till North Korea forgoes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and the means to produce additional fissile material in exchange for US security and economic commitments, a view that never corresponds with response from North Korea.

But North Korea seeks legitimation by the United States, and demands affirmation and acceptance of the United States. That is decreased military alliance with South Korea and Japan, and accepting North Korea as a nuclear-weapons state such as Israel. At the first time Obama was elected as president, Arab states and North Korea had a neutral or welcoming stance compared to a well-expected antagonism towards John McCain. Also for this year’s election results for giving Obama a second term, Chosun Sinbo, a pro-DPRK journal in Tokyo also reported the results as ‘neither side won, but it is true that Romney’s hard line deserves to be reprimanded.’

There have been repeated oscillations in inter-Korean relations, sometimes including clashes between the two militaries, of which North Korea’s March 2010 sinking of the ROK Navy corvette Cheonan was the most lethal of these episodes.[34] Pyongyang’s November 2010 shelling of Yeonpyeong Do (a ROK-controlled coastal island) constituted the first use of North Korean artillery against South Korean territory since the Korean War.[35] The main reason of the Cheonan attack was interpreted as to reestablish support for Kim Jong-Il’s rule especially by the military after November 2009 clash on NLL. However, current stalemate does not give any measures in either military retaliation or bilateral talks. The Yeonpyeong Do attack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explicit revelation conducted by a former director of the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Siegfried Hecker in terms of recently constructed centrifuges used for uranium enrichment, during his trip to North Korea in mid-November. After the politically neutral discovery, the blatant fact of recent violation of UN sanction with pursuit of another route for nuclear weapons led to doubtful and hostile discussion conducted by US and South Korean officials, which led to public address and media exposure. After Cheonan and Yeonpyeong Do military provocation, the Obama administration condemned its behavior along with the address of G8 group of industrialised nations meeting in Toronto in 2010. According to an agreement made between Lee and Obama in Seoul in November 2009, and a 25-minute talk over the phone on simultaneous reactions of US and South Korea, Secretary of State Hillary Clinton along with Secretary of Defense Robert Gates held the first-ever two plus two security talks with their South Korean counterparts. Moreover, the U.S. Freedom of Information Act and the Japanese equivalent will be [is] legally bound to shed light on this incident twenty five years from now [2010].[36]

With economic sanctions along with UNSC resolution to reaffirm its denuclearization commitments, US wanted to hear North Korea’s response opening a channel of dialogue as former president Clinton’s visit to Pyongyang in August 2009 shows. However, president Obama himself never succeeded a direct bilateral talk with the North Korean leader Kim Chong-Un yet. With the singular exception of China, various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United States were engaged in deliberations and consultations about North Korea, not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37] As China-DPRK bilateral relations remain strong that no other country can follow that level of deeper interaction, United States relatively lag behind of its diplomatic ability. A new leader Kim Chong-Un trying to strengthen his inner political circle with holding firmly a nuclear card cannot risk his political path by abruptly opening talks with a US counterpart. After the leadership change in North Korea, neither secretary-level talks nor summit talks are currently available. Rather, president Obama visited US military camps in South Korea and made a public address condemning North Korea’s behavior with no much change in stance. Holding back of food aid and other economic support are the only measures designed for stability and anti-nuclear proliferation at best.

Bush administration preferred multilateral approach using Six-Party Talks, but also went on a bilateral discussion table when North Korea made a provocative action so that appeasement was needed afterwards. President Bush and members of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during his two terms preferred justified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with consensus of other neighboring countries. But in Obama administration, even that attempt did not take place. Obama administration did not change much from its previous administration, but it became more reticent while seeking consequences if the North Korea abolishes nuclear weapons and thus fall. What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the nuclear test in May 2009, and military provocation of Cheonan and Yeonpyeong do are subsequent results with no major change from May 2009. As no significant nuclear-generated power supply for improving people’s lives in North Korea is being conducted, the dual purpose that North Korea suggests is already an excuse. The answer to denuclearization does not lie in increasing threat towards North Korea, in which it will accelerate its drive for nuclear weapons development as a result. When North Korea believes that fundamental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was improving, then it is willing to slow down. In an interview with the news media in 2009, US Secretary of State Hillary Clinton stated “we should try to step back and see North Korean issues as the forest instead of the trees.”[38] Looking at a forest, US can consider approaches other than direct sanction to limit nuclear proliferation, as improved transportation network replacing old North Korean infrastructure is constructed with support by government-corporate cooperation, named North Korean Development Bank, is being suggested by think tanks in the US. If Obama administration wants to make a diplomatic move, getting out of current stalemate, choosing alternatives other than war while differentiating from Bush era is going to be another Sunshine Policy or is very difficult to achieve.

 



[1] Jonathan D. Pollack, No Exit: North Korea, Nuclear Weapons and International Security, Routledge, 2011, p. 160.

[2] Ibid., p. 134.

[3] Suk Hi Kim and Bernhard J. Seliger, “U.S. Policy Options on a Nuclear North Korea”, The Survival of North Korea, Suk Hi Kim, Terence Roehrig and Bernhard Seliger (ed.), McFarland & Company, 2011, p. 245.

[4] Ibid., p. 209.

[5] Ibid., p. 205.

[6] Ibid.

[7] Ibid., p. 23.

[8] Ibid., p. 19.

[9] Ibid., p. 106.

[10] Siegfried S. Hecker, “Lessons from N. K. Nuclear Crises”, The Survival of North Korea, Suk Hi Kim, Terence Roehrig and Bernhard Seliger (ed.), McFarland & Company, 2011, p. 218.

[11] Jonathan D. Pollack, No Exit: North Korea, Nuclear Weapons and International Security, Routledge, 2011, p. 14.

[12] Siegfried S. Hecker, “Lessons from N. K. Nuclear Crises”, The Survival of North Korea, Suk Hi Kim, Terence Roehrig and Bernhard Seliger (ed.), McFarland & Company, 2011, p. 226.

[13] Ibid.

[14] Mikyoung Kim, “Violence from Within: North Korea’s Place in East Asian Community Debates”, The Survival of North Korea, Suk Hi Kim, Terence Roehrig and Bernhard Seliger (ed.), McFarland & Company, 2011, p. 188.

[15] Ibid.

[16] Siegfried S. Hecker, “Lessons from N. K. Nuclear Crises”, The Survival of North Korea, Suk Hi Kim, Terence Roehrig and Bernhard Seliger (ed.), McFarland & Company, 2011, p. 227.

[17] “Rice : Bilateral talks with North Korea won’t work” (CNN, October 10, 2006).

[18] Suk Hi Kim and Bernhard J. Seliger, “U.S. Policy on a Nuclear North Korea”, The Survival of North Korea, Suk Hi Kim, Terence Roehrig and Bernhard Seliger (ed.), McFarland & Company, 2011, p. 250.

[19] Mikyoung Kim, “Violence from Within: North Korea’s Place in East Asian Community Debates”, The Survival of North Korea, Suk Hi Kim, Terence Roehrig and Bernhard Seliger (ed.), McFarland & Company, 2011, p. 189.

[20] Jonathan D. Pollack, No Exit: North Korea, Nuclear Weapons and International Security, Routledge, 2011, p. 140.

[21] Ibid., p, 151.

[22] Ibid., p. 138.

[23] Siegfried S. Hecker, “Lessons from N. K. Nuclear Crises”, The Survival of North Korea, Suk Hi Kim, Terence Roehrig and Bernhard Seliger (ed.), McFarland & Company, 2011, p. 218.

[24] Jonathan D. Pollack, No Exit: North Korea, Nuclear Weapons and International Security, Routledge, 2011, p. 140.

[25] Ibid., p. 146.

[26] Ibid., p. 147.

[27] Ibid., p. 133.

[28] Ed Shin, U.S. Diplomacy with North Korea During the Bush Administration, Woodrow Wilson School of  Public and International Affairs, 2009, p. 1.

[29] Mikyoung Kim, “Violence from Within: North Korea’s Place in East Asian Community Debates”, The Survival of North Korea, Suk Hi Kim, Terence Roehrig and Bernhard Seliger (ed.), McFarland & Company, 2011, p. 189.

[30] Jonathan D. Pollack, No Exit: North Korea, Nuclear Weapons and International Security, Routledge, 2011, p. 204.

[31] Ibid., p. 157.

[32] Ibid.

[33] Ibid., p. 192.

[34] Ibid., p. 17.

[35] Ibid., pp. 17-18.

[36] Mikyoung Kim, “Violence from Within: North Korea’s Place in East Asian Community Debates”, The Survival of North Korea, Suk Hi Kim, Terence Roehrig and Bernhard Seliger (ed.), McFarland & Company, 2011, p. 190.

[37] Jonathan D. Pollack, No Exit: North Korea, Nuclear Weapons and International Security, Routledge, 2011, p. 177.

[38] Suk Hi Kim and Bernhard J. Seliger, “U.S. Policy on a Nuclear North Korea”, The Survival of North Korea, Suk Hi Kim, Terence Roehrig and Bernhard Seliger (ed.), McFarland & Company, 2011, p. 190.



Posted by 마키아또
,

     한중일삼국협력사무국(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은 동북아시아 3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의 협력 이슈를 발견하고 그에 대해 공동으로 논의한 뒤 3국의 입장을 정리하여 각국 외교부에 반영하는 정부간 기구로, 본부가 서울에 위치하고 한국의 외교부에 소속해 있다. 사무국장은 한국의 대사급 인사, 사무차장은 중국과 일본의 참사급 인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1년 설립되었다. 여기서 왜 이 기구가 한국 외교부 산하기구로 자리하게 되었는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그러한 정부 조직이 한국에 가져오는 이점과 한국에게 부과하는 책임을 안 뒤 삼국 간 협력에서 각 분야 별로 다른 협상 대상자가 어떻게 국내정치와 연계하여 win-set을 형성하는지를 알아보아야 한다. 


     2008년에서 2012년까지의 경과 보고서에 따르면 협상 분야는 삼국 정상회의, 외교부장관급 회의, 외교부 고위급 관료회의, 아시아 문제, 아프리카 문제,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문제, 대테러 조치, 재해관리, 핵안보, 민간교류, 무역 및 투자, 교통 및 물류, 관세, 지적재산권, 금융, 과학기술, 정보통신기술산업, 재생가능에너지 및 효율, 표준화, 소비자보호, 기후변화, 환경교육, 생태다양성보존, 황사, 대기오염, 친환경사회, 쓰레기 처리, 화학물 처리, 환경 거버넌스, 환경 관련 산업, 순환경제 모델, 보건복지, 농업, 어업, 수자원, 임자원, 문화, 관광, 교육, 청소년 교류, 스포츠, 인적자원관리, 연구기관 교류, 미디어에 이르기까지 정부가 담당하는 거의 모든 분야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외된 것은 국방과 대미관계, 대EU관계, 국회 사무, 선거, 법무, 지방자치단체, 고용노동이다. 한중일삼국협력사무국은 이 분야에서 대립을 가지고 있거나 각국 외교부에서 권한을 위임받지 못하여 이 분야의 협력을 주무 범위로 삼지 않고 있다.
특히 국방과 남북통일의 문제는 국가군과 관련되므로 공개적인 협력 부처로서 고정된 부서를 만들어 관리할 수 없다는 자연스러운 한계가 있지만, 동아시아 지역주의를 논할 때 빼놓지 말아야 할 이슈인 FTA와 EPA에 대해서 한중일삼국협력사무국이 아무런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은 사무국이 아직 ASEAN+3의 지역협력의 주도권을 공동의 것으로 양보하지 않고 서로가 쟁탈하고자 초반 기싸움을 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최근 미국과 EU와의 FTA 체결로 2008년 경제위기 이후 무역 중심 경제발전의 초석을 다진 한국은 사무국을 이끄는 주도적인 역할로서 주변국에게 절대 미국과 EU와의 FTA에 관련된 사항은 협력을 고려하면서 논의해 나가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다.


     사무국의 지난 해의 활동 보고를 살펴보면 빠진 내용은 모두 한국이 핵심적 국익을 위해 숨기고 있는 내용이다. 사무국의 조직 편제, 그리고 설립 배경으로 볼 때 한국은 정부간 기구를 통한 협력 논의에서 먼저 한국이 제안할 것과 제안하지 않을 것을 결정할 수 있다는 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 여러 나라에게 정책을 공개하고 얻을 것과 받을 것을 보다 열린 공간에서 논의하지 못하는 것은 아직 국제사회에서 강한 의견을 발휘할 수 없는 한국의 약점이며, 한국은 약점을 조직 편제를 통해 보완하고 있다.


    다만 사무국의 활동의 결과로 최근 한중일 FTA가 논의되기 시작되었다는 점은 일단 삼국 외의 행위자를 생각하지 않은 지역 범위에서의 협력이 매우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증명한다. 한중일 FTA의 협상 당사자가 고려해야 할 Level I의 변수는 국내정치 하나로 단순하다. 다만 다자간 참여를 고려하고 삼국 FTA를 바라본다면 한국과 일본으로서는 미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것이 win-set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구속력 있는 조약이 비준되기 어려운 이유이다. 국내정치 즉 국회와 정당 그리고 한중일삼국협력사무국을 이어주는 끈 사이에는 미국과 외교부라는 엄청난 난기류가 흐르고 있다.


     그리고 한중일삼국협력사무국은 협력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소통의 창구로서, 각국 외교부의 역사 인식에 대한 굳건한 입장이 섞여 논쟁을 통해 변화하거나 한쪽의 우세가 형성되는 작업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어떻게 보면 사무국 안의 회의의 장은 아이들이 만나 토론을 연습하기 위한 놀이터이고, 어른들은 따로 마루의 술자리에서 진지한 이야기를 나누는 형국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언제까지나 정부간 기구가 외교부의 국내정치만을 고려한 기존 결정들의 집합을 정부간 논의의 장으로 끌어오지 않는 소극적 태도를 보인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삼국 정상회담에서는 어떤 정상도 과거의 이념이나 역사에 관한 언급을 하지 않았으며 그러한 언급을 통한 외교관계의 악화는 모두 외교부 중심의 양자 회담에서 이루어졌음을 주지해야 한다. 고이즈미 총리 시절의 잃어버린 동아시아 외교 5년 간에는 한중일삼국협력사무국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한 점에서 앞으로의 발전 방향은 이념과 역사 논쟁을 조금씩 공개적으로 삼국 간 대화의 장에 내놓고 이를 통한 완전한 대립과 고착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평소의 협력 어젠다와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쪽이 될 것이다.


     그동안 양자주의, 다자주의, 열린 지역주의 등 국가를 행위자 단위로 생각했을 때의 한중일 협력은 가능한지에 대해 고민은 많이 있어 왔지만 국가를 입법부, 행정부, 외교부와 외교부 내 정부간 기구로 나누어 미시적으로 바라본 한중일 협력에 대해서는 특히 대중의 고민이 없었다. 시각이 바뀌면 또 다른 가능성을 찾아낼 수 있고, 정부간 기구 안에 기업과 시민단체의 거버넌스 참여를 강화시켜 정부기관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방안을 논의할 수도 있다. 색다른 관점으로 여러 가지 가능성을 실험해볼 수 있는 장으로서 한중일삼국협력사무국의 역할은 막중하다. 그리고 이는 과거 1950년 EU에서 평화를 위해 필사적으로 연대한 것과 달리 삼국이 이미 평화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한 뒤 서로 이길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는 경쟁과 협력의 양상이 될 것이다.


Posted by 마키아또
,

     정보사회의 거버넌스가 하나의 이슈로 첨예화되었다는 점은 온라인에서 보다 깊은 숙의에 의한 사실 중심의 토론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하나의 이슈만 가지고는 오프라인에서의 만남을 접목하여 네트워크를 보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노사모는 노무현이라는 인물에 대한 팬클럽 차원에서 지역감정을 해소하고 한국에 뿌리내리지 못했던 민주화운동의 권력화와 제도화라는 포괄적 이슈를 위해 만들어졌고, 중심에 있는 노무현 대통령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될 때까지 전국에 있는 사람들이 소속감을 가지고 오프라인 모임에도 출석하고 사적인 취미를 공유하게 하기도 하는 강력한 응집력이 유지될 수 있었다. 노사모는 노무현 대통령이 서거한 뒤에도 아직까지 존속하고 있으며, 이는 노사모가 단순하게 구체적인 이슈 하나에 한정된 단체가 아니라 연대적 유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만약 현재 반값등록금을 위해 전국 대학생 네트워크를 조직한다 한다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통해서는 많은 '좋아요'와 '팔로워'를 쉽게 확보할 수 있겠지만 오프라인으로 참가를 유도하고 일방향의 토크콘서트식 행사가 아니라 작은 단위로 나뉘어 자체적으로 조직화를 통해 개별적인 논의를 할 수 있을지는 심히 의심된다.


     반값등록금 네트워크가 실제로 반값등록금이 실현된 다음에는 어떤 비전을 가지고 조직의 존속을 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명확한 답이 없다. 반값등록금 네트워크가 플래시몹을 기획한다면 상당히 많은 관심을 받아 흥할 것이지만 행사가 끝난 뒤에는 모두 언제 그런 행사를 했느냐는 듯 자신의 일상으로 돌아갈 것이다. 반대로 노사모는 민주당과 열린우리당 당원의 기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네트워크로 주변 상황이 어떻게 변하더라도 당의 입지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원들이 플래시몹과 같이 갑자기 확 사라지는 경향이 있을 수 없다.


     전국 단위로 적용되는 이슈별 논의를 진행할 수 있는 플랫폼은 마련되어 있는 상태다. 그것은 크게 다음 아고라와 같이 집단 정체성을 가지지 않은 자유 토론게시판 플랫폼과, 개인들의 일시적인 소통과 그에 따라 개인들의 기대에 의해 네트워크 위상이 수시로 바뀌게 해주는 SNS 플랫폼이 있다. 하지만 여기서 현대의 SNS는 집단보다 개인을 중요시하는 서구식 개인주의에 맞추어진 웹 서비스이고, 이렇게 SNS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방향은 노사모와 같은 조직이 만들어지는 방향과는 정반대이다. 노사모의 회원 계정은 블로그나 트윗 목록이나 게시물 타임라인을 많은 양의 컨텐츠로 가지고 있지 않다. 노사모 웹사이트에서 한 개인이 올린 글만을 검색하는 기능은 게시판에 존재하지만, 그 기능이 이 웹사이트의 핵심적인 기능은 아니다. 반면 SNS에서는 개인이 다양한 이슈 혹은 특정한 이슈에 대해 그동안 얼마나 어떻게 관심을 가져왔는지에 대한 이력이 중요하고 그것에 따라 형성된 울타리 없는 개방적 네트워크가 개인의 가치를 증명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페이스북에는 그룹과 페이지가 있지만 이들은 노사모 홈페이지가 했던 '거대 목적 달성을 위한 광범위한 이슈의 축적'에는 적합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사람들의 관심이 자신을 집단의 구성원으로 인식한 후에 일어나는 관심이 아니라, 그저 개인이 살면서 그때그때 생겼다 사라지는 관심에 머물러있기 때문에 빠른 정보의 유통을 이루는 이슈별 논의가 만들어질 뿐, 조금 더 나아가봤자 온오프믹스와 같은 서비스에서 SNS로 모은 사람들이 일회성 대회를 개최하는 정도이다.


     공동체의 유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금의 파편화된 인터넷에서 다시 일깨워야 하는 개념은 '길드'다. 게임에 참여하는 개인들은 집단에 소속하여 서로 게임 안에서의 능력 향상을 도와주고, 집단으로서 성과를 올리고, 오프라인에서의 만남을 통해 사적으로도 친밀감을 형성하기 위해 중세의 노동자 집단과 같은 개념의 길드를 만들었다. 특히 이중에는 지리적 영역이 가까운 사람들끼리 길드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게임에서 길드를 형성한 사람들은 프리챌, 네이버, 다음 카페를 이용하여 길드 사람들끼리 지속적인 소속감을 가지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옮겨갔다. 이 점에 착안하여 점차 개인 계정의 자유로운 선택과 개인의 업적이 중요시되고 있는 지금의 인터넷 거버넌스를 숙의를 통한 문제 해결보다는 지속적인 공동체 형성이라는 목표를 위해 전환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변화가 필요하다.


     온라인 사이버공동체 운영에서 접속 속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편의성 등의 문제는 이미 상당한 개선을 이루었다. 중요한 것은 소속감을 가질 수 있는 집단이 특정 문제를 다루고 시민들의 거버넌스 참여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게 만드는 일이다.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연동이 없으면 새로운 회원가입을 하기를 주저하는 게으른 지금의 네티즌들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웹사이트는 적극적으로 SNS와의 연동을 추진해서 지방자치단체 웹사이트에서 공동체의 문제에 대해 참여한 글과 댓글이 SNS를 통해서도 빠르게 유통되도록 해야 한다. 예전에 뉴스 사이트에 개별적으로 로그인하여 다는 댓글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익명성 때문에 건전하지 못한 토론이 이어진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여러 소셜 댓글 서비스가 등장한 적이 있다. 이러한 유행이 다시 한번 불 때 목적지는 언론이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이며, 이때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인터넷에서 지금과 같이 중대한 의미를 지니는 공동체에 대한 시민 참여가 이루어지기 전에, 인터넷 거버넌스라는 용어가 등장하기 전에 정치학은 정당, 선거와 정치과정을 세밀한 것까지 공부하며 보다 많은 수의 지속적인 참여가 어떻게 가능할지를 고민했다. 목적이 아니라 수단에 집중하는 정치학이 인터넷을 만난 지금, 이제 집중해야 할 것은 웹 생태계, 지배적 웹 서비스나 플랫폼과 사용자의 행동 패턴, 인터페이스와 사용 편의성 등이다. 수단은 목적을 달성하는 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보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과거에 걱정하던 시민들의 정치적 무관심은 인터넷 상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정치적 토론, 투표시간 연장에 대한 시민들의 열렬한 지지를 통해 더이상 걱정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고, 정치와 행정에 참여하는 결정자가 인터넷에 얼굴을 많이 비출수록 시민들의 반응은 더욱 더 활발해졌다. 앞으로의 숙제는 시민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을 이끄는 것이 아니라 그동안 개인화와 파편화를 만들었던 웹서비스의 구조와 불편한 인터페이스와 같은 사소해보이는 수단의 개선에 달려있다. 공동체를 만들어서 계속해서 참여하는 행태에 시민들이 소극적인 태도나 부끄러움이나 자기 시간을 버린다는 회의감 없이 동화되도록 하는 작업은 곧 결실을 맺게 될 것이다.


Posted by 마키아또
,

     지역주의에서는 국제적으로 모두가 지킴으로써 역외 행위자를 배제하지 않으려는 GATT체제와 같은 움직임이 있고, 그리고 양자간의 무역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철폐하려는 자유무역협정의 움직임이 있다. 경제에서는 철저히 자국 국익을 생각하면서 타국에 양보할 것과 양보하지 않을 것을 구분하고, 자국에 유리한 국제적인 공급사슬을 만들기 위해 특정 국가를 선택하여 협력할 수 있다. 무역 정책을 결정하는 국가원수와 무역 담당 정부부처는 계산한 대로 타국에 대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기도 하고 우월한 경제력을 이용하여 세계화에 따른 황폐화를 저지르기도 한다. 


     반면 환경 문제에 대해서는 관리 능력에 관한 비교우위가 있다고 해서 그것이 비교우위를 가진 국가에게 독점적인 이득을 가져다주고 다른 나라에게 반대로 비교열위와 차별을 제공하지 않는다. 관리를 잘하는 국가는 일차적으로는 국가의 생존 차원에서 에너지의 수급과 경제발전을 지탱하기 위해 환경을 보존하고, 이차적으로는 주변국에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댐을 만들고 환경정화시설을 설치하고 원자력의 안전한 이용에 신경을 쓴다. 재화와 서비스 시장이 보여주는 독점의 폐해와 상관이 없는 대신 환경은 긍정적 및 부정적 외부효과를 가져오는 가장 큰 요인이며, 이에 따라 외부효과를 시장 질서로 해결하기 위한 탄소배출권 거래 등의 논의가 EU 국가 안에서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탄소배출권에 대해서도 점유율을 막대하게 가지고 있는 기업이 등장했다. EU 기후행동집행위원회(DG CLIMA)는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 내에서 각 기업이 공장 가동을 하면서 배출권을 경매 방식으로 사고 판 이후 추후에 배출한 양만큼의 배출권을 EU에 반납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배출권의 가격은 그때마다 달라지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기술집약적인 대기업이 배출권 경매 판매로 이익을 취할 수도 있다. 상대적으로 개발도상국인 키프로스와 에스토니아에게는 무한의 배출권을 제공해주는 특혜도 EU가 강한 제도적 틀로 실시할 수 있다. 주변국의 반발을 사지 않도록 강제성 있는 경제통합체가 작동하는 결과다.


     하지만 동아시아의 경우 다양한 경제발전 단계와 소득의 격차,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고 정체성의 형성이 다른 점이 이러한 시장을 통한 해결조차 불가능하게 하고 있고, 무엇보다 경제통합이 되기 이전에 OECD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탄소배출권 거래는 동아시아 지역 국가들 간에는 논리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탄소배출을 공업화 단계부터 시작한 뒤로 어느 정도의 충분한 시간이 거래 대상국 간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국가간 GDP 수준이 비슷해질 정도로 산업화나 정보화를 위한 탄소배출이 충분히 이루어졌을 때가 되어야 비로소 거래를 시작할 수 있다. 한 국가라도 GDP 성장을 위한 저기술 고오염의 경제발전을 이제 밟아나가고 있는 단계라면 그 국가와 거래가 불가능하다. 설상가상으로 유럽의 경우는 자국의 경제를 이끄는 자국의 기업이 공장을 자국 내에 가지고 있지만 동아시아의 경우는 한 나라의 기업이 공장을 다른 나라에 이전해놓고 있는 형국이라 형평성을 맞추기 위한 거래 방식의 설정은 매우 어렵고 또한 논란거리를 낳을 뿐이다.


     2011년 8월에 최열 환경재단 대표가 제안한 동아시아탈원전네트워크는 전문가들의 모임이라는 면에서 여론 형성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원자력을 사용하지 않을 때 어떤 방안이 구체적으로 가능한지를 국민들의 실생활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원자력 발전소를 가동하지 않는 근본 원인인 낮은 에너지 사용을 국민적 아젠다로 설정할 수 있는 캠페인 진행 능력과 관련 조례 및 규칙을 통해 강제성을 설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서울시의 경우 박원순 서울시장의 보궐 취임 이후 ‘원전 하나 줄이기’ 라는 제목으로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으며 서울시는 약 200만 TOE를 2014년까지 절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2011년 서울의 에너지 소비량인 1,696만 TOE의 11.7%에 해당한다. 참고로 국내 원전 중 최대 규모인 영광5호기는 79만 TOE이다. 이러한 지자체의 노력에서는 노하우를 이번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탈원전 움직임을 보이는 중국과 일본에서 가져올 수도 있고 그 나라로 전해줄 수도 있다. 이러한 노하우 공유는 경제적인 보상과 함께 맞물려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하지만 추후에 동아시아탈원전네트워크가 제안하는 각국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 계획 중단 및 기존의 가동중인 발전소의 안전 점검 강화 혹은 가동 중단이나 폐쇄 결정은 결국 정부의 에너지 담당 부처의 최종적인 결정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권력기관의 의사결정에 아무리 유명한 사람들의 네트워크가 만들어진다 하고 그것이 한일 협력의 범위로 확장된다 하여도 실제로 정부 부처 관계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원자력의 피해를 모든 시민들이 인지하여 꼭 국민투표를 실시하지 않더라도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반대 여론이 충분히 형성되어야 시민들에 의한 압력을 받아 정부의 행동이 바뀌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국내정치 차원에서 이러한 압력의 인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한국과 중국의 시민들이 일본 경제산업성, 적어도 원자력발전소 입지의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상당히 강한 압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이는 한국과 중국의 시민과 언론 차원에서의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이해 증진과 피해지역 일본 시민들과의 정서적 공감대 형성으로부터 출발할 수 있다. 마침 저번 주에 한중일삼국협력사무국 주최로 열린 ‘제3회 한중일 캠퍼스 하모니’  에서 이러한 목적의 후쿠시마 시민 컨퍼런스를 제안한 바 있다.


     환경 문제는 그 본래의 특성상 협력을 강조할 수밖에 없는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부정적 외부효과가 크고 환경 문제를 시장 메커니즘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틀과 기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때 더욱 협력의 의지가 각 국가 행위자에게 증대된다. 함께 지구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손을 잡는 행위는 전략적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안보나 무역 차원에서의 전략적 파트너십보다는 보다 행위자의 자율성이 떨어지는 행위이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경우에는 환경 문제가 지역 전체의 문제로 비화될 때 국가들이 이슈 중심적인 ad-hocracy를 추진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어 이러한 행위의 반복이 추후 협력을 위한 제도 형성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Posted by 마키아또
,
     한나 아렌트의 대중이 가진 폭력적 성격에 집중할 때 그러한 군중의 형성은 성숙한 시민의식을 갖추지 못하고 사회문제에 무관심할 때 이루어지는 반면, 지금과 같이 정보가 공개되어 있고 대중의 공론장 참여가 열려있는 때는 군중의 형성 가능성을 낮게 보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나치즘 프로파간다는 1940년대 강력한 통제를 받은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에 의해 효과적으로 군중을 조종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고 이는 지금의 북한도 마찬가지이지만, 한국의 상황은 다르다. 우선 케이블 텔레비전과 인터넷을 공중파에 합쳐서 매스컴을 바라보면 하나의 군중으로 모여서 이성을 상실하고 폭력적으로 변하기 전에 개인은 개인이 좋아하는 채널을 선택해 보면서 소집단으로 나뉜다. 그리고 그 소집단은 한 물리적 공간에 대량으로 모여있지 않으며 전국적으로 조금씩 퍼져 있기 때문에 온라인의 힘을 빌려서 집단 형성과 의견 취합을 한다.
     하지만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정치 참여의 핵심 과정이 탑재되어있는 현재의 스마트 몹의 형성은 기존의 파시즘에서 나타났던 집단반지성과는 달리 지도자를 추종하는 충성파의 열정이 없다. 오히려 지도자를 비판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집단이 더 큰 목소리를 내서 과거 이명박 대통령의 탄핵 운동이나 지금의 윤창중 대변인 사건에 대한 전국적인 관심과 비판의 움직임이 이루어지고 있다. 두 세기의 차이점을 개략적으로 바라보면 20세기 한국은 찬성해야 힘이 세지는 사회였다면 21세기 한국은 반대해야 힘이 세지는 사회이고, 지금은 인터넷에 대한 참여가 건전한 토론을 유도하고 비폭력적이며 논리적인 정치 참여 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문과와 이과를 불문하고 토론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른 국가의 상황은 인터넷의 발전 정도나 정치적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한국과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공격적인 군중의 형성 가능성은 극도로 약화된 현대 사회이지만, 아직 무식하고 순응적인 군중의 형성 가능성은 매우 높다는 점이 지금의 인터넷에 기반한 정치활동에서 경계해야 하는 점이다. 인터넷과 정보화의 시대에 집단지성이라는 구호를 내세우면서 '생각 없는 대중'을 동원하는 일본 정치인과 그를 따라가는 아무런 생각 없이 살아가는 소시민 B층에 대한 오마에 겐이치의 지적은 정보사회의 도구가 수단적 힘을 더욱 갖게 되면서 더욱 더 섬뜩하게 다가온다.
     정치인에 의한 인터넷의 조작과 달리 사기업에 의한 인터넷 조작은 보다 더 은밀하게 이루어지지만 대중의 반발력은 두 경우에 비슷하다. 브로드밴드나 이동통신 상품과 결합한 계열사 상품 및 서비스 혜택이 한쪽으로 편중된 데 대해서는 네티즌들이 반발심을 가지고 다른 상품으로 소비 패턴을 전환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하지만 검색순위 조정, 소프트웨어 설치, 배너 광고나 PPL에 대한 네티즌의 반발은 소극적이다. 로렌스 레식의 말처럼 코드는 중립적이거나 투명하지 않으며 무엇이 어떻게 커뮤니케이션될지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사기업에 의한 인터넷 조작이 이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이루어진다. 정치의 차원에서는 대중이 생각이 없으면 이 의견이 옳은지에 대해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경영의 차원에서는 생각이 없으면 이 제품과 서비스를 써야 하는지에 대해 무비판적으로 수용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독도 관련 사이버테러와 같이 우리와 그들을 나누어 그들을 공격하자는 담론이 형성되는 것은 극히 일부 관심있는 집단의 몫이지만, 이것이 좋으니 이것을 하자는 담론은 누구에게나 적용되기 쉽다.
     집단지성의 개념이 형성되는 패러다임 자체부터 과거 산업사회의 계급투쟁을 벗어났다는 점은 긍정적인 논의의 토양을 제공한다. 그 토양 위에서 인간 본성에 내재된 광기와 감성의 본능이 지나치게 드러나지 않도록 다스리는 문화적 장치는 이미 인터넷으로 결정되어 사람들의 지지를 얻고 있다. 오프라인에서의 집단반지성을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을 도입했지만 인터넷에서 다시 집단반지성이 태동하고 있다. 21세기의 대중은 20세기 국가간의 전쟁을 유발하는 공격적인 성향으로 변모하지 않으며 오히려 서로간의 자제를 촉구하거나 말싸움으로만 그치는 수준에 머물지만, 대중의 지지를 업은 실제 행동은 대중 개인도 모르는 사이에 순응적으로 이루어지며 대중의 구성원들은 이 점을 항상 경계해야 할 것이다.

Posted by 마키아또
,

     한국은 지난 5월 15일 열린 북극이사회 각료회의에서 정식 옵서버 자격을 획득하였다. 한국은 이제 북극이사회 산하 6개 위원회에 참여해 발언권을 행사하고 프로젝트나 사업구상도 제안할 수 있게 된다. 한국이 이렇게 적극적으로 국제사회에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은 미국, 중국, 러시아에 의존하여 그들이 만든 프로젝트에 따라 자원을 안정적으로 도입하는 것을 넘어서서 한국이 적극적으로 자주 개발한 자원을 확보하려는 정부의 정책 전환 때문이다. 


     러시아가 주도하고 있는 천연가스 개발과 확보에서 한국, 일본, 대만과 같이 자원 외교에 필사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자원 빈국들은 러시아와 손을 잡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성장 조건이 개선되어 재정수지 흑자와 국부펀드 운용을 누리고 있는 여유로운 러시아는 앞으로의 무역체제에서 WTO가 예외로 하고 있는 자원에 대한 패권을 발휘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중국은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철광석, 구리, 원유, 석탄, 밀 등 러시아가 아직 강하게 자신의 입지를 굳히지 못하는 광물에 대해 WTO체제에 힘입어 축적한 부를 이용하여 대량 구매를 진행하고 있다. 결국 중국과 러시아는 대립하는 국가로 남아있게 될 가능성이 높고, 러시아가 천연가스에 대한 협력을 동아시아 국가들과 진행할 경우 한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그리고 북한이 수혜자가 될 뿐 중국과는 경쟁할 수밖에 없는 전망이다.


     한국, 일본, 대만은 2000년대 경제성장을 위해 노동력을 구하기 힘들었던 나라이기도 하다. 첨단 기술을 가지고 있었지만 수출을 위해서는 첨단 기술뿐만 아니라 대량생산 능력도 뒷받침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 삼국은 중국과 동남아시아를 보고 진출을 진행해왔다. 동아시아 내 국가가 처한 상황에 따라 노동 분업은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졌고, WTO체제와 자유무역 및 기술협력의 흐름이 이러한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하지만 국가의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노동력, 설비, 금융 자본도 필요하지만 천연 자원 또한 못지 않은 비중으로 중요하다. 그 동안 천연 자원의 확보를 당연하게 여겨온 이 3국은 미국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해상 교통로에 의존하여 석유를 운반하였다. 그런데 미국과 중동, OPEC과 IEA가 러시아와 중국과 GECF의 등장으로 그 입지를 잃어가고 있고 석유보다 값싼 천연가스의 대량 공급이 이어질 경우 3국의 대응 전략은 수정이 불가피하다.


     자원 빈국의 자원 외교는 자원의 국가지배와 지정학화가 강화될 경우 줄타기 외교의 양상을 보일 것이며 이는 자원이 빈약한 3국이 미국과 중국 사이를 왔다갔다하며 협상을 진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반면 자원의 시장화와 글로벌화가 강화된다면 자원 외교의 중요성은 약화된다. 물론 자원의 수입국 입장에서는 시장화와 글로벌화를 더욱 더 환영하고 있고 경제성장의 원동력이었던 시장경제체제를 위해서는 그 쪽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중국을 제외하고 현재 경제성장이 진행중인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에게도 같이 적용될 것이다.


    그런 점에서 그린란드를 가지고 있는 덴마크는 부러움의 대상이다. 그린란드 역시 서시베리아와 같이 천연가스가 대거 매장되어 있고, OPEC의 입지를 더욱 약화시킬 수 있는 석유뿐만 아니라 금, 다이아몬드, 텅스텐 또한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그린란드는 따로 정부가 경제사법권을 독립적으로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일단 작은 나라인 덴마크 그리고 북유럽 국가간 높은 무역 비중을 감안하여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아이슬란드에 해당하는 지역은 러시아와 같이 자급자족이 가능한 배후 지역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놀랍게도 이 북유럽 국가들은 모두 미국, 캐나다, 러시아와 함께 북극이사회 회원국이다.


     반대로 한국, 일본, 대만의 주변에는 언제나 협력적인 자세를 끊을 수 있는 강대국들만이 존재하고 있고, 이는 아시아 국가의 필사적인 해외 순방과 탐사에 대한 협력을 낳은 원인이다. 어찌 되었든 부산이나 도쿄에서 로테르담까지 이어지는 북극항로가 개척되면서 한국과 일본에게 매우 생소하기만 했던 덴마크와 함께 이야기할 수 있는 담론이 생긴다는 것은 흥미진진한 일이다. 그리고 오늘날 들려오는 뉴스는 강소국으로 거듭나고자 하는 국가들이 전세계적으로 협력을 시작할 수 있다는 암시이기도 하다. 얼마 전 연세대학교 글로벌라운지에 DENMARK DAY라는 행사가 열렸다. 행사에 참가했을 당시에는 덴마크와 한국이 공통점도 가지고 있지 않은 굉장히 먼 나라라고 생각했는데, 자원외교와 북극항로를 중심으로 양국 관계를 바라보니 더욱 거리가 가까워 보였고 같은 강소국 지향 국가로서 협력의 여지가 보이기도 했다.


     한국 정부는 석유 매장량의 고갈이 시야에 들어오면서부터 일관된 자원외교 정책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다른 자원 빈국에 비해 항상 대응의 속도나 규모가 떨어진다는 자기 비판을 줄곧 하고 있다. 하지만 동아시아 국가간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러시아와 가장 쉽게 신뢰도 높은 협력을 할 수 있는 나라가 바로 한국이기도 하다. 북한이라는 요소만 지혜롭게 해결한다면 한국의 자원 외교는 세계 속의 강소국으로 정착하는 일을 도와줄 것이다. 이 와중에 한국에게는 천연가스에 대한 패권국가의 등장 여부가 미래 정책을 수행하는 데 큰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Posted by 마키아또
,

    미국이 중국에 대해 국력의 우세를 유지한다면 중국으로서는 분쟁지역화를 먼저 시도하려는 국익을 가진다. 분쟁지역화와 강한 해군의 분쟁지역 내 주둔은 다른 문제이다. 미국이 일본, 필리핀과의 군사 협조로 분쟁지역 내의 이들 국가 입장을 강화시킬 목적으로 먼저 해군을 지원하고, 그 다음 중국이 전쟁을 두려워하여 대응 목적의 해군을 내보내지 않더라도 중국은 분쟁지역화 성공에 따른 외교적 승리를 거두었다 판단할 수 있다. 


    2010년 7월에는 하노이에서 남사군도와 관련하여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과 양제츠 중국 외무부 장관과의 의견 대립이 있었고, 9월에는 센카쿠 열도 문제를 두고 미중 양국 외교부의 충돌이 있었으며, 12월에는 로버트 윌러드 미국 태평양사령관이 동펑-21C 대함탄도미사일의 위험을 언급하였다.  중국의 현상유지 전략은 미국으로 하여금 불만 표시의 다분한 소재를 낳고 있다. 지속적 경제성장에 상관없이 중국은 영원히 패권과 군사적 팽창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국제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할 것이라고 하지만, 그 속에서 중국은 자국의 국방력이 앞으로 계속 증대될 것이며 가까운 미래에 분쟁지역화에 성공한 섬을 대상으로 한 항공모함 진수와 같은 군사적 조치가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중국으로서는 남사군도, 서사군도, 황옌다오가 자국의 핵심적 이익이라고 공식석상에서 발언하는 것 또한 최선의 선택이다. 핵심적 이익 개념에 대해서 당연히 미국은 반대하지만, 천명을 해놓고 국내에서 해군력 강화를 조금씩 여유롭게 시도하는 모습이 보인다. 과거 연안에 한정되어 한국과 일본을 방어하는 개념이 강했던 작은 해군은 이제 자원을 획득하고자 하는 목적도 함께 달성해주며 중국의 활동 저변을 넓히는 근해적극방어 형태로 바뀌었다. 중국은 해외 기지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이 지칭하고 있듯이 ‘진주목걸이’(String of Pearls)와 같이 중국연안에서 남중국해, 말라카해협, 인도양, 아라비아해 및 걸프해역으로 통하는 중국의 해상교통로 상에 항구 사용권을 확보하여 기지로서 활용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중국은 만일의 사태를 대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미국이 아시아의 패권국이 되려는 노력이 사그라들 때까지 기다리고 있다.


    중국 정부는 경제력, 군사력, 과학기술력, 그리고 국민적 단결력을 망라한 ‘종합국력’을 증강하기 위해 미국 및 주변국과의 때 이른 군사대립을 피하는 동시에 경제발전과 군사현대화를 차질 없이 진행하고자 한다.  종합국력에서 경제력에 미국의 의존도가 높다는 점은 미국과의 전면전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중국이 주변 아시아 국가들과는 전쟁을 개시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지난 역사에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개입의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강대국으로서의 배후세력과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되 견제는 하는 정도로 안정시키는 것이 중국의 이익에 부합한다.


    미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중국 주변의 각종 분쟁을 중국이 유리한 쪽으로 끌고 갈 개연성이 높다. 미국의 카리브해 개입에 중국이 함께 개입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해상국력의 차이가 드러나는데 중국은 이를 역이용하여 군사력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중국에 유리한 분쟁지역화와 영토 야욕 드러내기에 성공했다. 또한 일본을 거점으로 한 아시아 중시 정책은 일본의 우경화에 가로막혀 미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있다. 2013년 2월 미국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미일 동맹 복원’ 정상회담에서 일본의 영토 분쟁에 대한 침착한 대응을 주문했고 오바마 대통령은 미일 동맹의 중요성만 강조했을 뿐 분쟁 대응의 지지 성명을 내놓지 않았다. 2012년 12월의 미국의 센카쿠는 미일방위조약의 적용대상이라는 입장에서 전환된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은 일관된 친미 진영 국가로의 정책 수행을 위해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지원으로 스카보러 섬의 필리핀 영유권을 지지하는 행위도 소강상태로 접어들게 할 것이다.


    그렇다면 미, 중 양국간 대결구도에 영향이 없는 독도, 일본 북방영토 4개 섬, 그리고 남사군도와 서사군도에 대한 해결책은 당사국 국내 정치에 따라 지혜롭게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숙제가 주어진다. 권력을 빌려 쓰려 하면 결국 주도적인 외교를 펼치는 국가에 지는 한계가 있고, 적절한 권력을 행사하면 현상 유지와 균형을 만들 수 있다. 한국, 러시아, 필리핀, 베트남은 일본과 중국의 해군 전력 강화에 대응한다는 목표를 공유하며 서로 다른 나라의 영토 분쟁에 대해 자제를 촉구하거나, 어느 한쪽이 합리적인 방법으로 양보를 하는 방안을 제시해줄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4개국은 중국과 일본 중 어느 편에도 속하지 않으며 함께 미, 중 양국간 대결구도가 특정 지역 내에서 무력 충돌로 격화되지 않는 다중의 안전장치를 마련하게 되고, 결국 각국의 군전력 강화는 특별한 재배치 없이 국내에서만 이루어지는 평화적인 공존 상태가 만들어질 수 있다. 현실주의 국제관계에서 진영이 셋 이상이 되도록 각국이 협력하는 것은 전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임을 지금의 영토 분쟁 상황에서 다시 상기해야 할 것이다.


Posted by 마키아또
,

     마누엘 카스텔스가 전세계 차원에서의 디지털 격차 문제를 제기했을 때 인상적이었던 것은 국가간의 정치문화에서 유래한 디지털 격차였다. 그 예로 권위주의적인 학교 내 교수법을 유지하고 있는 프랑스를 들었는데 그것은 아주 적절한 지적이라고 생각한다. 파리의 대학교에 유학했던 시기에도 그들의 창의성은 말하고 쓰는 본질적인 능력에 치중해 있었기 때문에 국민소득의 증가와는 상관없이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이나 기술로 보완한 강의 혹은 발표의 가치가 많이 평가절하되어 있었다. 반면 신기술의 통합을 이용한 창의성을 국가경쟁력으로 삼고 있는 영국, 독일, 네덜란드의 경우는 EU 정부 차원에서도 디지털 집행위원회의 많은 관심을 통해 교육 부문의 IT 통합을 점차 고도화하고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신기술의 습득과 활용이 널리 퍼지는 것을 국가발전을 위한 장기적 투자로 생각하고 있어서 브로드밴드 보급률과 인터넷 품질에도 앞선다.


     국가의 경제적 수준이 인터넷의 발전으로 이어지기 전에 먼저 정부가 IT를 얼마나 자국 산업과 연계시키는가에 따른 정책기조가 디지털 격차 문제나 인터넷 인프라 수준 문제를 결정하는 독립변수가 되어야 한다. 중공업, 관광 그리고 해외직접투자로 한국과 비슷한 경제규모를 이룩한 체코의 경우 유럽 지역 내에서 경쟁적인 통신회사 시장을 유치하고 있고 미국과 한국을 벤치마킹하여 IT산업 육성을 실시하고 있다. 에스토니아는 낮은 국민소득과 작은 인구를 인지하고 신기술의 융합을 통한 혁신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고, 작은 인구에 따른 엄청난 비율의 해외 직접투자와 정부 업무의 단일화를 이용하여 극도의 일률적인 효율성으로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정부 및 민간 분야의 업무 범위를 확대했다.


     디지털 격차가 적은 국가들은 국가 경제를 해외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다. 이는 인터넷과 유무선 네트워크의 활용 범위가 본질적으로 전세계 단위를 지향하기 때문이다. 또한 연결과 해제가 쉽게 이루어지고 해외의 교역상대를 수시로 교체하는 것이 자유로운 시장 질서의 무역을 수행하며 높은 도시화를 바탕으로 정보산업이 국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인적 자원이 천연 자원보다 중요한 국가는 디지털 격차를 줄이고자 교육부터 힘쓴다. 마지막으로 전자정부의 활용성이 높은 국가들은 작은 디지털 격차를 가지고 있다. 전자정부의 발전이 모든 국민들이 전자정부 서비스에 참여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웹표준 준수, 접근성 가이드라인, 공공 PC 인프라 구축 등을 기준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이는 당연한 결과다.


     카스텔스는 보다 많은 글로벌 경제와의 연계가 디지털 격차를 강화한다고 했지만 이는 그가 주장한 대로 노사간 협의가 아니라 투자에 관련한 법률에 의거한 노동 규약 때문에 불안정한 노동력이 발생하여 그들의 소득 감소에 따라 유선 네트워크나 모바일에 접근하기 어려워지는 관점에서 사실이며, 반대로 보다 글로벌 경제가 확산된다면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 필연적으로 IT에 대한 시민들의 활용능력이 증대된다는 차원에서 디지털 격차가 줄어든다. 격차가 줄어든다는 점은 하드웨어의 활용능력뿐만 아니라 하드웨어를 이용한 유용한 정보의 수집능력 또한 평준화됨을 의미한다. 이는 전자정부가 지향하는 목표다. 


     국제 범죄경제와 온라인 금융을 활용한 자금세탁은 정보기술의 부작용을 보다 드러내어 정부와 기업과 시민사회의 디지털 격차를 점차 줄여야겠다는 여론 형성을 방해하며, 정보 범람에 따른 정부의 합법성의 위기는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저해한다. 이러한 부정적 현상을 사전에 통제하기 위해 정부는 지식과 정치적 의지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각국의 디지털 격차 수준을 알고 있어야 하고 제도의 합법성을 추구해야 한다.  기업 차원에서는 정보통신기술에 관련된 인프라 구축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시민사회는 사회적 학습 과정을 생성해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정보기술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노동력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전체적으로는 인터넷의 속도로 변화되는 환경에 모든 행위자가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 지적재산권의 변화된 입지, 매체와 내용이 이전 출판 시대와 같이 합쳐진 게 아니라 분리될 수도 있다는 점을 전체적으로 인식하고 있어야 지속적인 디지털 격차 해소가 가능해진다. 인터넷과 전혀 관련이 없어보이는 요인들이 동시에 발현되어야만 디지털 격차가 조금씩 해소되는 성과를 거둘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주체들의 협력과 공동의 움직임이 필수적이다.


     디지털 격차를 줄이면 개방형 혁신에 참가하는 주체의 수가 늘어난다. 개방형 혁신은 필수적으로 같은 수준의 지식과 능력을 가지고 있는 시민들의 협업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줄어든 디지털 격차에 따라 더 많은 시민들이 다음 단계인 개방형 혁신에 참가하기 위한 기본적 요건을 충족하면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끌어모을 규약이 만들어진다. 디지털 격차를 줄이면 더 많은 사람들이 모듈 조직에 참가할 수 있게 된다. 디지털 격차를 줄이는 것은 빈부 격차를 줄이는 것과 다르다. 부자에게 과세를 하여 가난한 사람의 복지를 향상시켜주는 빈부 격차 감소는 부자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줄이지만, 디지털 격차를 줄이는 과정에서는 자원이 줄어들지 않는다. 물적 자원이 아닌 인적 자원을 다루기 때문이다. 인적 자원은 꾸준히 성장하고 그 속도에 개인적 차이가 생길 뿐이지 인적 자원이 감소하지는 않는다.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에는 이해관계의 정면대치가 없기 때문에 노력의 이행이 보다 더 쉽다. 다만 다른 과제와 비교했을 때 우선하는가 아닌가가 지금의 국가별 디지털 격차 수준의 차이를 낳았을 뿐이다. 그래서 경제규모나 IT 인프라가 아니라 정부의 정책기조나 국민들의 문화가 수준 차이를 낳는 근원이 아닐까 한다.

Posted by 마키아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