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학생이라면 누구나 친구들의 중요성을 알고 있다. 의무감으로 만나는 친구가 아니라 동반자 혹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으로서 만나는 친구의 중요성은 동서고금에 언제나 언급되어 왔다. 하지만 친구들을 만나 같이 일이나 공부를 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은 법. 그보다는 평소에 자기가 어떤 일을 하고 어떤 경험을 했는지를 한 상에 모두 올려놓고 친구들을 위한 잔치를 벌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볍게는 학교 식당이나 도서관 앞 벤치, 더 나아가면 대학 앞 술집이나 공연장 그리고 펜션과 다른 지역의 여행지에서 우리는 잔치를 벌이지 같이 프로젝트를 기획하지는 않는다. 즉 일이나 공부가 꼭 필요한 우리들은 친구들을 만나면 일이나 공부를 못 하는 법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언제 일이나 공부에 집중을 하는가? 그것은 우리들이 가지고 있는 흐름에 달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나의 흐름. 다른 친구들도 이와 비슷할 것이다.

  이렇게 주로 1년을 주기로 우리는 자아에 집중하여 성장하는 정도와 다른 사람들을 만나며 자아를 나누는 정도를 사인, 코사인 곡선을 그리며 조절해 간다. 나의 경우 친구들을 만날 기회가 줄어드는 기간은 지금인 계절학기 그리고 정규학기중의 시험기간이다. 그렇게 자아에 집중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지점의 양 옆에는 다른 사람들과 만나는 정도가 높아지는 지점이 자리하고 있다. 새학기가 시작할 때나 5월의 축제기간 등이다. 이 외에도 수시로 벌어지는 많은 일생 중의 사건들은 각자가 가지고 있는 두 개의 곡선을 변동시킬 수 있다.

  이 흐름을 균형감 있게 그려 나가는 일은 평생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나의 흐름에 대한 제어를 최대한 다른 친구들과 맞추어 친구들과의 시너지 효과를 최대화하는 일이다. 즉 남들이 놀고 있는데 혼자 공부하겠다고 저만치 가지 말며, 남들이 공부할 때 혼자 일상탈출을 꾀하지 말아야 한다. 주위의 친구들과 흐름을 맞추기 위해 우리는 전화를 하고 학교에서 잠깐 만나 이야기를 한다. 이야기를 하면서 두 사람은 너와 나 사이의 흐름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곡선을 각자 그려나갈 때 이야기를 참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위 사람들과 흐름이 맞을 때 그 사람들을 나중에 다시 만날 때의 기쁨은 절정에 달한다. 절정이란 예를 들자면 모두가 똑같은 기간 동안 혹독한 경쟁을 치른 뒤 어느 날 같이 만나면, 연말에 한동안 못 보던 고등학교 동창들을 한꺼번에 한 장소에서 같이 보면 느낄 수 있는 기쁨이다. 수시로 얼굴을 봐서 지겨울 정도로 만나는 것보다는 각자가 만들어 놓은 곡선에 따라 일정 기간동안 자아에 집중한 뒤 다시 한꺼번에 만나는 것이 훨씬 즐겁고 사이좋은 만남을 만들어내고, 그동안 준비한 각자 자신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마키아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