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블로그를 못한 원인은 이중전공에 따른 부담과 동아리의 정기공연 준비 이 두 가지에 있었다. 그리고 인터넷의 무서움을 파악하고 소문의 소용돌이와도 같은 괴력을 절실히 느낀 어떤 한 사건 때문에 나는 내 모습을 직설적이고 솔직하게 표현하는 데 조심하게 되었기 때문에 블로그에 아주 직설적이라 할 수 있는 나의 생각과 의견을 표현하기를 주저했다. 그러면서도 공대와 사과대를 넘나드는 첫 학기의 첫 시험 준비는 어느 정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었다. 맨 처음 과목은 조금 망치긴 했지만 앞으로의 학기를 어떻게 버텨야 되나 하는 거대한 절망은 없었다.

  언제나 그랬듯 공부법을 연마하자는 생각은 변함이 없었고 특히 이번에 언어와 수학을 병행해 가는 공부를 하다 보니 생각 할 게 훨씬 많아졌다. 그동안 쪼들리는 일정에 블로그 주제는 머리 안에 있었지만 늦은 하루의 피로감 때문에 그것을 포스팅으로 옮길 힘조차 없었는데, 오늘 아침은 참 개운하여 마음을 가다듬고 포스팅하기 좋은 것 같다. 지난 일주일 동안 내가 주의를 기울여왔던 주제는 새로운 정보다. 이는 기존의 내가 배워놓은 지식을 보존하는 방법이라기보다는 오늘 당장 내 눈 앞에 새로 펼쳐진 정보를 정확하게 잡아내는 방법과 관련이 있다.

  새로운 정보는 글을 읽으면서, 그리고 교수의 말 한마디를 필기로 옮겨 적으면서 빛을 발한다. 새로운 A라는 정보가 내 머릿속에 들어왔을 때 가장 신경을 써야 되는 부분은 지금 이 정보를 저장할 때 아주 특수한 모습으로 가공해야 한다는 점이다. 나는 책의 몇 페이지에서 이 정보를 발견했는가를 생각해보고 그 페이지를 스크린샷처럼 기억하는 방법, 이 정보가 툭 튀어나올 당시의 나의 심정이라던가 주변 사람들의 대화하는 상황 등을 연계시켜 함께 기억하는 방법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 예전에는 글귀를 있는 그대로 단지 글의 형태로만 머리에 저장하곤 했는데, 이는 어렸을 적의 성경구절 암송처럼 10-20회의 반복적인 읽기를 통한 암기에만 적합한 방법이었다. 다행인 것은 지금 우리가 정보를 얻기 위한 소스가 글, 그림, 하이퍼텍스트 문서, 동영상, 친구나 다른 어른들의 말 등 아주 다양한 모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특정 정보 A를 아주 독특하게 기억하기 쉬워졌다는 사실이다. 눈과 뇌만 가지고 글을 읽어 정보를 달달 외우는 것과, 여러 감각기관이 모두 열심히 가동하여 똑같은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 중 무엇이 더 효율적인지는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또한 새로운 정보가 들어왔을 때 신경써야 하는 부분은 이 정보가 내 안에 저장된 이후 절대로 변하지 않을 것을 보장하는 일이다. 정보를 처음에 받아들일 때 그 정보가 완전한지 혹은 올바른지에 대해 의심을 한다면 그 정보는 뒤틀리고 기억 속에서 쳇, 하며 빠져나간다. 슬롯머신의 빙빙 돌아가는 그림들처럼 어떤 형태를 취할지가 불안한 정보가 차분히 굳어진 프레스코화와 같이 뇌에 저장되도록 처음부터 정보를 받아들일 때 온 정신을 기울여야 한다. 자신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능력을 완전히 믿지 못하면 정보가 나에게 온전히 들어올 수도 없다. 그리고 새로운 정보가 다른 정보와 아무런 의미 없는 연결관계를 가질 수 있다면 그러한 쓸데없는 연결관계를 처음 정보를 접하는 순간에 떠올리기를 삼가할 필요가 막대하다. 예를 들어 막스 베르트하이머라는 심리학자가 가현운동의 원리를 처음 제시했다는 지식을 처음 접할 때에는, 1920년대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사회학자 막스 호르크하이머를 쓸데없이 떠올리면 안된다. 농담이나 유머를 위해서는 이러한 경우처럼 정연한 논리를 비틀지만, 공부를 할 때에는 진지하게 정연한 논리를 천천히 따져가면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해야 한다.

  이 두 가지 중요한 원칙은 서로 관련이 있다. 정보를 특수한 모습으로 가공해 놓으면 그 A라는 정보는 워낙 특수하기 때문에 기존에 내가 저장해 놓은 수백만 개의 단편적인 정보와 아무런 혼란을 빚지 않게 되어 불변하는 분명한 지식으로 남아 있게 된다. 관련된 두 가지 원칙을 끊임없이 상기하며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 연습을 꾸준히 해야겠다. 방법과 원칙은 능력의 필수적인 지지대이기 때문이다.
Posted by 마키아또
,